2025/07/07 3

[Network] TCP/IP 4 계층을 기반으로한 웹 요청과 응답의 동작 흐름

TCP/IP 4 계층 ?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 과정을 4계층으로 나눈 구조이며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실질적인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실용적 모델이다. 웹 요청 후 동작 순서 1. DNS 를 통하여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 [응용 계층]- 브라우저는 가장 먼저 브라우저 캐시, 로컬 DNS 를 조회하여 동일한 이전 요청일 경우에 남아있는 IP주소가 있는지 확인한다.- 없을 경우 DNS 서버에 질의하여 요청한 도메인의 IP 주소를 반환받는다. 2. 요청 메시지 생성 [응용 계층]IP를 반환 받았다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요청라인요청 메서드 / 요청 경로/ HTTP 버전요청헤더요청 메시지에 대한 추가 정보빈 줄헤더와 본문을 구별하기 위한 빈칸본문요청 보낼때 전송할 데이터나 응답 데이터을 담는..

Network 2025.07.07

[Network] OSI 7계층의 역할과 목적

OSI과 TCP/IP의 차이점? OSI 7 계층과 TCP/IP 4 계층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기OSI 7 계층이란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개발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 과정을 7단계의 역할로 계층을 나누고 각 계층에 표준을 정한 구조 이다. 왜 표준을 정할까?표준을 정하여 개발을 하게 된joheamin.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 차이점을 서술해두었었다. OSI 7 계층웹 요청과 응답의 동작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누고 각 계층의 표준을 정한 구조표준화를 강조한 개념적 모델 TCP/IP 4 계층웹 요청과 응답의 동작을 4개의 계층으로 나누고 각 계층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실질적인 동작 처리를 한다.실질적인 적용을 강조한 실용적 모델 이번에는 OSI의 역할과 목적을 통해 웹 요청과 응답의 흐름..

Network 2025.07.07

[Network] DNS의 역할과 동작 방식

지난 도메인 포스팅에서 DNS 에 대한 설명을 간략히 하였었다.이번에는 그 DNS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공부해보았다. DNS? DNS는 도메인과 IP를 서로 변환해주는 서비스를 의미하며이러한 서비스를 운영하는 서버를 DNS 서버 라고 한다. 🤔 왜 서로 변환을 할까? 본래 IP 주소를 통해 검색을 해야하지만 IP 주소는 사용자들이 구분하기 어렵기때문에 더욱 알아보기 쉬운 도메인으로 검색을 할 수 있게 하고 변환하는것은 서버에서 담당하여 더욱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DNS는 왜 생겼을까 ? DNS가 없던 시절에는 각 컴퓨터에 IP주소와 도메인의 이름을 연결한 hosts.txt 파일이 넣어져있어 그것을 통해 변환을 하고 관리하였다. 하지만 그것은 당시 컴퓨터를 사용하는 수가 많지않을때에 ..

Network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