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6

HTML Form 의 Get & Post 방식의 원리와 차이점

✔️ GET / POST 란?HTTP 메서드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한다.프론트에서는 주로 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할때 method 속성을 사용하여 요청 방식을 지정하곤 한다. get과 post의 차이가 분명하므로 어떤 데이터를 입력하고 어떤 요청을 원하는지에 따라get 으로 요청할지 post로 요청할지 결정해야할것이다. 🔶 GET 방식1️⃣ get 방식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리소스를 요청하는 메소드이며   주로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한다.    CRUD중 R(Read)  2️⃣ 요청을 전송할 때 데이터를 body에 담지 않고 , 쿼리 스트링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쿼리 스트링이란?URL의 뒤에 입력 데이터를 함께 제공하는 단순한 데이터 전달 방법으로URL에서 '?' 문자..

HTML 2025.01.13

HTML Table 접근성이란 ?

테이블이란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표를 의미한다.HTML에서도 table은 매우 자주 쓰이는 태그이며, 자유롭게 만드는것이 가능하다. 웹 접근성 이란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웹 콘텐츠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받을수있게 보장하는것웹에서 보여지는 표 들 또한 시각적으로 보이지않는 사람 등등 에게 똑같이 보여지도록  웹 접근성을 고려하여 테이블설계를 하는것은 중요하다. 우선 웹 접근성과 상관없이 일반적인 테이블을 생성해보겠다. 기본 테이블 예제table border="1">      tr>        th>번호th>        th>이름th>        th>나이th>        th>성별th>        th>지역th>      tr>      tr>        th>1th>        td>조해민td..

HTML 2025.01.10

HTML의 웹 접근성을 고려한 Text 태그에 대해 알아보고 텍스트 문서 작성에 적용하기

HTML 에는 여러가지 Text 태그가 있다. Text를 원하는 느낌으로 출력하기 위해서 쓰는것이지만단순히 Text를 꾸미는 용도로만 쓰는것이라면 css로도 충분히 가능하다. Text 태그를 사용해주어야하는 이유는 하나는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함이다. 웹 사이트를 제작할때는 장애인,노인 누구나 동등하게 웹 사이트의 서비스를 제공 받을수있도록 보장하는웹 접근성을 지켜야하기때문이다. 우리가 제목을 표시하고강조해야하는 부분을 표시하는 등  텍스트들을 태그로써 표시를 해둔다면 스크린 리더를 통해 시각장애인들도 웹사이트에 적힌 텍스트들을 파악할수있도록 할수있다. 그리하면 웹 접근성 향상에 기여되는것이다.스크린 리더? 스크린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해 주는 화면 낭독 프로그램이다. 😊 그럼 간단하게 텍스트 태그들의 ..

HTML 2025.01.10

HTML의 기본구조에 대해 알아보기

HTML문서는 정해진 형식에 맞추어 내용을 작성해야한다.기본적으로 HTML문서를 작성할때 넣어주어야하는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웹 문서의 구조는 크게 로 나뉘어져있다.나누어 설명을 하자면 우선 ✏️ 웹 문서의 유형을 지정하는 태그이다.현재 작성하고있는 이 문서가 HTML 문서임을 웹 브라우저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웹 문서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태그이다.끝으로 아무런 코드도 작성하지않아야한다. ✏️ 웹 브라우저에 문서 정보를 알려주는 태그이다.이 태그의 정보들은 화면에 출력되지않으나 웹 브라우저가 알아야할 정보들이 담겨있다. head영역에서는 meta 태그 라는 메타정보를 사용할수있다.  메타 정보?메타 정보란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 를 의미한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웹 문서에 관련된 정보를..

HTML 2025.01.10

웹 표준과 웹 접근성

웹 표준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규칙을 의미한다. W3C라는 대표기관의 의해 웹사이트를 작성할때 사용하는 HTML, CSS,JavaScript에 대한 규정이 정해져있다.  웹 표준을 왜 지켜야할까? 이미 전세계 모든 사람들은 인터넷을 사용하고있으며 수많은 웹 사이트들이 있다.이렇게 많은 웹사이트들에 공통적인 규칙 없이 각자 마음대로 만들게되면 어떻게 될까? 다른 누군가 해당 웹사이트를 유지보수하는것도 힘들뿐더러 효율적이지 못한 웹사이트가 될수있을것이다. 웹 표준의 장점 1. 유지 보수의 용이성        - 복잡하게 뒤섞인 코드들이 아닌 규칙에 의해 작성을 한다면 누구나 알아보기도 쉬우며,           더욱 효율적이게 유지보수를 할수있게 된다. 2. 웹 호환성          - 웹표준을 준수하..

HTML 2025.01.09

웹 동작의 흐름(아키텍쳐)

웹 아키텍쳐 웹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인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버로 요청하여  응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그렇다면 우리가 웹을 동작할때 어떤과정이 일어나는걸까? 우선 아키텍쳐의 구성부터 알아보자면 1. 웹 브라우저     - 사용자와 인터넷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하며,       사용자에게 요청을 받고 서버로 전송하고 응답하여 브라우저 화면상에 그려내는 일을 한다. 2. 웹 서버      - HTTP 또는 HTTPS를 통해 웹 브라우저에서 요청하는 문서를 전송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이때 전달해주는 문서는 HTML 문서와 같은 정적인 웹 콘텐츠를 전달해준다.               크롬 등등 3.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AS)       - 정적인 웹이 아닌 동적인 웹 콘텐츠 요청이 ..

HTML 2025.01.09